백엔드 구조 완전 정복, MVC 패턴 쉽게 설명
백엔드 개발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듣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MVC 패턴입니다. 하지만 이름만 들어봤지 정확히 어떤 구조이고 왜 사용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. 이 글에서는 MVC 패턴의 개념을 **비개발자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쉽게** 설명하고, 실무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도 함께 살펴봅니다.
“코드를 잘 짜는 것보다 중요한 건 구조를 잘 짜는 겁니다.” – 백엔드 리드 개발자 인터뷰 중
1. MVC 패턴이란 무엇인가?
MVC는 Model, View, Controller의 약자로, **웹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명확히 분리**하기 위한 설계 방식입니다. 개발 초보자들은 HTML과 JavaScript, SQL이 뒤섞여 있는 프로젝트를 처음 보면 정신이 없을 수 있습니다. MVC 패턴은 이런 복잡함을 줄여주는 핵심 개념입니다.
- Model: 데이터와 로직을 담당하는 부분 (예: DB 처리, 비즈니스 로직)
- View: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화면 (HTML, 템플릿)
- Controller: 사용자 입력을 받고 Model과 View를 연결
이 세 가지를 분리함으로써 유지보수와 협업이 쉬워지고, 기능 추가도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.
2. 쉽게 이해하는 MVC 흐름 예시
사용자가 웹사이트에 로그인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.
- View: 로그인 폼에서 ID와 비밀번호 입력
- Controller: 입력 값을 받아서 Model에 전달
- Model: DB에서 사용자 정보 확인 후 결과 반환
- Controller: 결과를 확인하고, 성공/실패 View로 연결
- View: 로그인 성공 시 대시보드 화면 표시
“MVC를 잘 이해하면 코드의 책임을 나눌 수 있습니다. 혼자 다 하지 않아도 됩니다.” – 스타트업 CTO 세미나 중
3. 실제 프로젝트 구조 예시
Node.js 기반 Express 프로젝트에서는 보통 아래와 같은 디렉토리 구조를 따릅니다.
📦my-app
┣ 📁controllers
┃ ┗ userController.js
┣ 📁models
┃ ┗ userModel.js
┣ 📁views
┃ ┗ login.ejs
┣ 📁routes
┃ ┗ userRoutes.js
┗ app.js
각 폴더가 MVC의 역할을 나누고 있으며, 여기에 미들웨어, 서비스 레이어 등을 추가하면 더욱 유연한 구조가 됩니다.
4. MVC 패턴의 장점과 단점
장점
- 역할 분리로 코드 가독성 향상
- 기능 단위 테스트 용이
- 디자이너와 개발자 협업 최적화
- 재사용 가능한 코드 구조
단점
- 초기 설계에 시간이 필요
- 단순한 프로젝트에선 오히려 복잡해질 수 있음
- 역할이 명확하지 않으면 오히려 혼란 유발
5. MVC 이후의 구조들
최근에는 MVC 외에도 MVVM, Clean Architecture, Hexagonal Architecture 등 다양한 구조가 등장하고 있습니다. 하지만 그 시작은 여전히 MVC입니다. 특히 초보자나 신입 개발자에게는 MVC 구조에 익숙해지는 것이 가장 좋은 출발점입니다.
MVC 구조 비교 도표
구성 요소 | 역할 | 실제 예시 |
---|---|---|
Model | 데이터 처리, 비즈니스 로직 | userModel.js (MongoDB, MySQL 등) |
View |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화면 | login.ejs, Handlebars, Pug 등 |
Controller | 입력 처리, 흐름 제어 | userController.js |
'개발포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hub Page 웹 배포 방법 netlify 배포 방법 정리 (0) | 2025.08.09 |
---|---|
풀스택,프론트 프로젝트로 완성하는 방법 이해하기 (0) | 2025.08.09 |
프론트엔드 UI디자인 시스템 구축 레이아웃 시스템 (0) | 2025.08.08 |
프론트개발자 백엔드개발자 포트폴리오 만드는 방법 (0) | 2025.08.08 |
프론트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협업 방법 실무 공유 팁 (0) | 2025.08.08 |